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yspace/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core/Input.php
Line Number: 28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yspace/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libraries/Session.php
Line Number: 688
관리자
2024-04-05
조회수 144
대중교통 이용하는 청년들 모두 주목!!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들은
대중교통비의 30% (K-패스 기준)를 다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K-패스는 국민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2024년 5월 1일부터 도입하는 제도로
대중교통비의 20%부터 최대 53.3%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동 거리와 관계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이
적립금으로 지급되는 사업(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3%)으로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적립금이 지급되며, 월 최대 60회까지 지원됩니다!
따라서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대중교통 이용이
15회 미만이라면 당월 적립금액은 소멸됩니다.
K-패스의 신청대상은 일반: 청년층과 저소득층을 제외한 사람 /
청년층: 만 19세~34세 /
저소득층: 수급자와 차상위계층 3가지로 나뉩니다.
적립률은 대상에 따라 일반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3%로 나뉩니다.
따라서 만 19세에서 34세인 청년은 적립률 30%로
교통비로 5만 원 지출 시 무려 15,000원까지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라면 별도의 회원가입 및 신청 없이
전환 신청하면 사용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환 기간은 ~2024년 06월 30일까지이고,
그 전에 신청하더라도 K-패스는 2024년 05월 01일부터 적용되고
그 전까지는 그대로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로 지급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가 아니라면 24년 5월부터
K패스 공식 홈페이지와 앱 또는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11개의 카드사
(신한, 우리, 하나, 현대, 삼성, 비씨, KB 국민, NH 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 유페이)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카드로 골라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 차이점
알뜰교통카드는 출발/도착 버튼을 눌러야 하고,
도보와 자전거 등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알뜰교통카드는 출발, 도착, 거리 등에 따라 마일리지 적립이 달라서
조금 불편사항이 생길 수 있었는데 이번에 새로 나올 K패스는
‘이동 거리 무관’으로 지출금액에 비례하여 환급되기 때문에
더욱 편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1년 이상 사용한 알뜰교통카드 후기
제가 작년부터 실제로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면서 대중교통비 부담을 크게 덜었습니다.
24년 02월만 보더라도 알뜰교통카드를 통해서 무려 10,150원이나 환급을 받았습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는 출발지에서 승차점까지의 이동거리,
하차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거리의 합이 마일리지 적립율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무관한 K-패스의 적립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환급되는 금액은 따로 신청하지 않고 알뜰교통카드로 등록해놓은 카드 계좌에
자동으로 돈이 들어오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여 좋았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대중교통을 이용을 통해
사회에 얼마만큼의 편익을 가져오게 됐는지를 알 수 있어서
더욱 대중교통을 이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대전 시내버스 비용이 24년 1월부터
성인 기준 1,500원으로 250원이 인상된 것과 같이
계속해서 대중교통 요금이 오르고 있는데 대중교통 월 15회 이상
이용하시는 청년들은 꼭 “K-패스” 가입하셔서 혜택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o:p></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