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yspace/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core/Input.php
Line Number: 28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yspace/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libraries/Session.php
Line Number: 688
관리자
2024-05-14
조회수 115
(출처: 대한민국과학축제 홈페이지)
과학의 도시, 대전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과학축제’를 다녀왔습니다!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1997년에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과학 행사입니다.
이번에 제28회로 2024년 4월 25일(목)부터 4월 28일(일)까지 열렸으며, 행사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입니다.
(출처: 대한민국과학축제 홈페이지)
장소는 한빛탑(대전 유성구 대덕대로 480)부터 엑스포 다리를 건너서 엑스포시민광장(대전 서구 둔산대로 169)까지
축제가 매우 큰 규모로 열렸습니다. 축제는 크게 5가지 테마로 나뉘어서 진행되었는데,
① 성인을 대상으로 과학과 소통하는 ‘과학 톡톡', ②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기심과 상상력을 키우는 '과학 실험실',
③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 뮤지엄‘과 ④ ’과학 라운지‘, ⑤ ’과학 테마파크‘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o:p></o:p>
저는 이 중 한빛탑에서 진행하는 ⑤ 과학 테마파크부터 방문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연령대가 모두 즐길 수 있도록 여러 부스가 마련되어 있었고,
한빛탑에서 진행하였기 때문에 축제 부스를 즐긴 후에 한빛탑을 구경하기에도 좋았습니다.
그리고 한빛탑 축제 부스 옆으로는 여러 푸드트럭도 마련되어 있어서, 간단하게 맛있는 음식을 먹기에도 잘 되어있었습니다.
또한, 축제 기간에 한빛탑 물빛광장에서 미디어파사드와 야간경관조명을 운영하여서 먹거리, 즐길 거리, 볼거리 모두 잘 갖추어져 있었습니다.
한빛탑에서 엑스포 다리를 건너서 ④ 과학 라운지를 오면 SNS에서 인증샷으로 인기를 끌었던 판다 조형물이 있었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연계하여 과학 기술을 주제로 한 판다 조형물을 전시하여 ‘과학 기술로 지키는 동물 이야기’를 주제로 생태계 보전을 위한
콘텐츠를 제시하였습니다.
원형 광장을 활용하여 과학을 주제로 한 여러 조형물들이 많았으며, 한밭수목원과도 연결되는 위치이기 때문에 일종의 야외 쉼터 같았습니다.
<o:p></o:p>
판다 조형물 뒤로 보이는 흰색 대형텐트 안에 들어가게 되면 과학 기술의 미래를 볼 수 있는 ③ 과학 뮤지엄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과학 뮤지엄이 2024년 대한민국 과학축제의 슬로건인 '세상에서 가장 큰 연구실(We are all Scientists!'를 가장 느낄 수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이 슬로건은 호기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순간, 우리는 모두 탐구하는 과학자가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우리 일상이 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② 과학 실험실입니다. 5가지 테마 중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되었던 것 같은데,
여기서는 청소년들이 과학에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와 기업 부스들이 여럿 있었고,
아동이 과학에 직접 체험해보며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과학 방 탈출, 무중력 체험장치 등 특색있는 체험이 많았습니다.
여러 부스들을 체험하고, 정부대전청사 방향을 따라 더 내려오게 되면 성인을 대상으로 ① ‘과학 톡톡’이 진행되는 오픈 스테이지가 있었습니다.
여기서는 과학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카이스트의 정재승 교수, 성균관대의 김범준 교수 등의 강연과 과학과 관련된 사이언스 버블쇼,
과학 마술 콘서트 등의 공연들이 운영되었습니다.
<o:p></o:p>
이렇게 정말 큰 규모로 열린 대한민국과학축제를 다녀왔는데 과학 기술 발전이 우리에게 가져다줄 변화들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5가지 테마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테마별 즐길 거리가 달라 전혀 지루하지 않았고,
정말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서 과학에 큰 관심이 없더라도 누구나 즐길 수 있게 되어있었습니다.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생각보다 사전 예약 후에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아 다음 축제가 진행될 때는 미리 알아보고 가면 더욱 잘 즐기고 올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도 과학의 도시 대전에서 열릴 다양한 행사들이 더욱 기대되는 축제였습니다.
<o:p></o:p>
대한민국 과학축제 홈페이지
https://www.scienceall.com/sciencefestival2024